[장양 치숙 張楊 稚叔]
장양의 자는 치숙이며 운중군 출신이다. 생년 미상이나 198년에 사망한다. 처음에는 병주에서 무맹종사로 임명되었다. 영제 말년에 서원군이 정비되고 서원팔교위의 우두머리로 영제의 총애를 받던 환관 건석이 총수인 서원상군교위로 임명되었다. 건석은 서원군의 총수가 되어 각지의 호걸들을 모집하고 편장군과 비장군 같은 낮은 직위에 앉히려 하였고 조조와 원소 또한 서원군의 교위직에 있었으며 건석에게 소속되 있었다.
병주 자사 정원은 장양에게 군사를 주어 건석에게로 보내 가사마로 임명하게 하였다. 영제가 사망하고 건석은 하진에게 살해당하였는데 장양은 하진의 명을 받고 병주로가서 병사 천 여명을 모집하고 상당에 머물면서 도적을 토벌하였다.
십상시의 난으로 하진이 사망하고 동탁이 조정의 정권을 장악하였을 때 장양은 병사들을 이끌고 호관에 있는 상당태수를 공격하였지만 이기지 못하였다. 동탁을 토벌하기 위해 연합군이 결성되자 원소가 맹주가 되어 하내까지 왔을 때 장양은 원소와 합류하고 흉노 선우 어부라와 함께 장수에 주둔하였다.
어부라가 반역을 꾀하였는데 원소와 장양은 이에 동조하지 않았고 선우가 장양을 납치하여 떠나자 원소는 국의를 보내 추격하도록 해 업현에서 격파하였다. 선우는 장양을 데리고 여양에 도착하여 도료장군 경지를 격파하고 다시 군사를 일으켰다. 동탁은 장양을 건의장군 겸 하내태수로 임명하였다.
헌제가 이각과 곽사를 피해 동쪽으로 달아났다. 헌제가 하동에 왔을 때 장양은 군사들을 이끌고 안읍현에 도착하여 안국장군으로 임명되고 진양후로 봉해졌다. 장양은 헌제를 모시고 낙양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여러 제장들이 듣지 않아 야왕현으로 돌아갔다. 196년 (건안 원년) 헌제가 낙양으로 돌아가려 하는데 식량이 많이 부족하였다. 장양은 식량을 가지고 헌제를 맞이하여 낙양으로 돌아갔다. 장양은 야왕현으로 돌아가 대사마로 임명되었다.
장양은 여포와 평소부터 사이좋게 지냈는데 연주에서 조조와 여포와 대치하다가 여포가 포위를 당하였는데 장양은 여포를 구하려 하였지만 방법이 없었다. 결국 장양은 여포의 편을 들어 군사를 일으키려 하였지만 장양의 대장 양추가 장양을 살해하고 조조에게 호응하였지만 다른 장수 휴고가 양추를 살해하고 원소와 합류하려 하였다. 하지만 조조는 사환을 보내 견성에서 휴고의 군대를 격파하고 휴고를 참수하였으며 남은 군사들은 조조에게 흡수되었다.
'역사 > 삼국지 :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 인물 115. 순유 공달 (0) | 2016.02.13 |
---|---|
삼국지 인물 114. 공손도 승제 (0) | 2016.02.12 |
삼국지 인물 112. 교모 원위 (0) | 2016.02.12 |
삼국지 인물 111. 왕광 공절 (0) | 2016.02.11 |
삼국지 인물 110. 공주 공서 (0) | 2016.02.11 |